대추나무의 전정목적은 햇빛이 잘 들고 바람이 잘 통해서 굵고 맛있는 열매가 많이 열리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해마다 전정을 해 주어야 하며, 전정을 해 주지 않으면 가지들이 무성해져서 영양분을 거의 다 가지들이 가져가서 대추열매가 작거나 많이 달리지 않습니다.
대추나무의 전정방법은 품종과 연령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정답이 없습니다. 대추나무를 키우는 재배자가 주관을 가지고 소신있게 키우면 됩니다. 우리 농장에서는 보은복조 대추나무의 1~3년생 전정방법은 이미 설명을 하였고 여기서는 우리 농장에 심은 천상홍조 사과대추나무 1~3년생까지 전정방법을 저 나름대로 자세히 설명하려고 합니다.
가지의 명칭
(1) 주간 : 원가지를 말합니다.
(2) 주지 : 아들가지를 말하며 주간에 주지가 많을때는 1주지,2주지,3주지... 등으로 숫자 차례로 정합니다.
(3) 부주지 : 손자가지를 말하며 주지에 부주지가 많을때는 1부주지,2부주지,3부주지... 등으로 숫자 차례로 정합니다.
(4) 도장지 : 정의는 숨은 눈으로 있다가 어떤 영향으로 나무가 잘 자라지 않을 때에 터서 뻗어 나가는 가지를 말하는데 여기서는 크게 자란 가지들을 말합니다.
(5) 성장가지 : 나무가 성장하는데 필요한 가지를 말합니다.
(6) 열매가지 : 열매가 열리는 가지를 말합니다.
천상홍조 사과대추나무 1~3년생 전정방법
보통 묘목을 구입해서 심을때는 묘목 주간에 자란 모든 주지는 2cm 정도 남기고 전부 잘라줍니다.
묘목 1,2년생을 구입하여 봄 또는 가을에 심었을 경우는 땅이 배수상태가 좋으면 직경 30~40cm 정도, 깊이 20~30cm에 묘목뿌리를 다듬어 펼쳐놓고 흙을 접목부위 바로 밑까지 넣고 물을 잔뜩 붓고, 물이 뿌리공극 속으로 들어가도록 살짝 들어 올려 줍니다. 그리고 물이 다 스며들어가면 접목부위 바로 밑까지 흙을 올려주고 살짝 밟아줍니다. 지반의 배수상태가 불량하면 지표면 위에 양질의 흙을 직경 40cm, 깊이 30cm 정도로 올려쌓고 배수상태가 좋은 경우의 심은 방법대로 심으면 됩니다. 가을에 심을 경우는 그다음 해 봄에 심는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심으면 됩니다.
정식 1년차 : 묘목을 심은 늦가을부터 올 봄지나서 겨울 전정하기까지를 말합니다.
천상홍조(꿀사과) 대추나무는 왕대추나무의 일종이기때문에 전정방법을 크게 나누면 재배방법이 보은복조대추와 같은 일반전정방법이 있고 또 하나는 외대전정방법이 있습니다.
1. 일반전정방법
1) 정식 1년차
(1) 묘목을 심었으면 접목부위에서 지상 눈 3개 정도 또는 20cm 정도 남기고 45도 경사면으로 잘라줍니다.
(2) 잘린 상단부위는 균이 들어가지 않도록 도포제로 처리해 주면 좋겠습니다.
(3) 5월 초 주간에 남긴 3개의 눈에서 새싹이 각각 4~7cm 정도 자라면 3개 싹 중에서 제일 튼튼하게 자란 싹 1개만 남기고 나머지 싹들을 전부 제거해 줍니다.
(4) 건강한 주간 싹은 8월 초순경까지 많은 주지와 함께 1.8m 이상으로 자랍니다.
(5) 작업할때 몸에 가시에 찔리지 않도록 사전에 가시는 전부 잘라주면 좋습니다.
(6) 6월 초에 새싹줄기가 목질화로 변할때는 바람이 잘 통하도록 주간의 지상 0.7m까지 주지들은 다 잘라줍니다.
(7) 주간 길이가 1.8m이상 자랐고 목질화로 변했을 경우에는 1.8m위치에서 더 이상 크지 못하도록 잘라줍니다.
2) 정식 2년차
(1) 12월경에 기온이 영하 5도 이하로 3번 떨어졌다가 영상으로 올라간 따뜻한 좋은 날을 택하여 전정을 해줍니다.
(2) 주간 길이 0.7m부터 사방으로 자란 주지 4개는 각각 눈 3개 + 1cm씩만 남기고 부주지와 함께 전부 잘라줍니다.
(3) 주지 4개 위로 20cm까지는 그 안에 있는 주지는 전부 잘라주고, 그 위에 사방으로 주지 4개는 각각 눈 2개+ 1cm씩만 남기고 부주지와 함께 전부 잘라줍니다.
(4) 주간 길이가 지상 0.7m + 주지 4개 + 0.2m + 2차 주지 4개의 합이 1.8m가 안되면 안되는대로 잘라줍니다.
(5) 5월 초에 주지 4개에 남긴 각각의 눈 3개 중에서 끝단 눈에서 나온 도장지만 키우고 나머지 2개의 눈에서 나온 도장지는 잘라줍니다.
(6) 남긴 도장지가 커서 목질화가 되면 추를 이용하여 주지방향에 45도로 유인하여 주고, 도장지 가지 중에서 주지방향으로 나간 첫번째 가지위 1cm에서 도장지를 잘라줍니다.
3) 정식 3년차
(1) 주간 길이 0.7m부터 사방으로 자란 주지 4개는 전년도 절단한 위치에서 각각 눈 2개+ 1cm씩만 남기고 부주지와 함께 전부 잘라줍니다.
(2) 주지 4개위로 20cm까지는 그 안에 있는 주지는 전부 잘라주고, 그 위에 사방으로 주지 4개는 전년도 절단한 위치에서 각각 눈 2개+ 1cm씩만 남기고 부주지와 함께 전부 잘라줍니다.
(3) (2)에서 위로 20cm까지는 그 안에 있는 주지는 전부 잘라주고, 그 위에 사방으로 주지 4개는 전년도 절단한 위치에서 각각 눈 2개+ 1cm씩만 남기고 부주지와 함께 전부 잘라줍니다.
(4) 지상 0.7m + 1차 주지 4개 + 0.2m + 2차 주지 4개 + 0.2m + 3차 주지 4개의 합이 1.8m가 안되면 안되는대로 잘라주고, 1.8m가 넘으면 1.8m에서 잘라줍니다.
(5) 5월 초에 주지 4개에 남긴 각각의 눈 중에서 끝단 눈에서 나온 도장지만 키우고 나머지 눈에서 나온 도장지는 잘라줍니다.
(6) 남긴 도장지가 커서 목질화가 되면 추를 이용하여 주지방향에 45도로 유인하여 주고, 도장지 가지 중에서 주지방향으로 나간 첫번째 가지위 1cm에서 도장지를 잘라줍니다.
4) 정식 4년차 이상 재배방법은 정식 3년차 재배방법과 같습니다.
2. 외대전정방법
외대전정방법은 지상 1.8m 주간(원가지) 1가지와 지상 0.7m에서 만든 주지 4개에서 나온 도장지만 키우기때문에 주간 간격이 좁아도 별 영향이 없기때문에 2m x1.5m로 심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단, 중앙통로는 일하기 편리하게 4m 정도로 두면 좋습니다.
1) 정식 1년차
(1) 묘목을 심었으면 접목부위에서 지상 눈 3개 정도 또는 20cm 정도 남기고 45도 경사면으로 잘라줍니다.
(2) 잘린 상단부위는 균이 들어가지 않도록 도포제를 발라주면 좋겠습니다.
(3) 4월 말일 경 주간에 남긴 3개의 눈에서 새싹이 각각 4~7cm 정도 자라면 3개 싹 중에서 제일 튼튼하게 자란 싹 1개만 남기고 나머지 싹들을 제거해 줍니다.
(4) 건강한 주간 싹은 7월 하순 경까지 많은 주지와 함께 1.8m 이상으로 자랍니다.
(5) 작업할때 몸에 가시에 찔리지 않도록 사전에 가시는 전부 잘라주면 좋습니다.
(6) 재배관리하게 좋게 주간 1.8m 정도에서 더 이상 자라지 않도록 주지 2cm 정도 남기고 잘라줍니다.
(7) 바람이 잘 통하도록 주간의 지상 0.7m까지 주지들은 다 잘라줍니다.
(8) 열매가 굵고 잘 달리도록 6월 중순경 제1차 꽃이 피기전에 모든 주지끝을 잘라줍니다.
2) 정식 2년차
(1) 겨울 초 좋은 날 전정할때 지상 0.7m 부근에서 사방으로 자란 주지 4개와 그 위에 주지 1개 더 남기고 나머지 주지들을 다 잘라줍니다.
(2) 주지 4개는 각각 3개의 눈 + 1cm만큼 남기고 다 자릅니다.
(3) 최상단 주지는 2개의 눈 + 1cm만큼 남기고 다 자릅니다.
(4) 4월 초에 주지 4개에 남긴 각각의 눈 중에서 끝단 눈에서 나온 도장지는 1개만 키우고, 남긴 도장지가 커서 목질화가 되면 추를 이용하여 주지방향에 45도로 유인하여 주고, 도장지 가지 중에서 주지방향으로 나간 첫번째 가지위 1cm에서 도장지를 잘라줍니다.
(5) 주지 4개에 남긴 각각의 눈 중에서 중간 눈에서 나온 도장지는 각각 1개만 키우고, 도장지가 커서 목질화가 되면 추를 이용하여 주지방향에 45도로 유인하여 주고, 도장지 가지 중에서 주지방향으로 나간 첫번째 가지위 1cm에서 도장지를 잘라줍니다.
(6) 최상단 주지에서 자란 싹은 가장 튼튼한 싹 1개만 키우고 나머지는 제거해 줍니다.
(7) 정식 3,4...년차는 정식 2년차 재배방법과 같습니다.
잘못 기술된 내용은 재배하면서 보완할 예정입니다.
강전정한 9년생 왕대추나무
'나무 및 과수 재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대추나무 등을 다시 강전정하다 (0) | 2020.12.22 |
---|---|
둑에 대추나무를 심을 계획을 세우다 (0) | 2020.12.19 |
보은복조 대추나무 1~3년생 전정방법 (0) | 2020.12.11 |
대추나무란? (0) | 2020.12.10 |
보은복조 대추나무 1년생 묘목을 잘라주다 (0) | 2020.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