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김알지(대보공)의 몇 대손인가
경주김씨의 시조 김알지에 관한 신화.
≪삼국유사≫ 기이(紀異) 제2 김알지 탈해왕대조(金閼智脫解王代條)와 ≪삼국사기≫ 신라본기 탈해이사금조(脫解尼師今條)에 수록되어 있다.
≪삼국사기, 김부식 저≫에 의하면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단풍든 경주 계림
탈해(석씨)왕 9년 3월에 왕이 밤중에 금성(金城) 서쪽 시림(始林) 숲속에서 닭이 우는 소리를 듣고, 날이 밝자 호공(瓠公)을 보내어 이를 살펴보도록 하였다. 호공이 시림에 다다라 보니, 금빛의 작은 궤짝이 나뭇가지에 달려 있고 흰 닭이 그 아래서 울고 있었다. 이 사실을 듣고 왕은 궤짝을 가져오게 하여 열어 보니, 조그마한 사내아이가 그 속에 들어 있었는데, 용모가 기이하게 뛰어났다. 왕은 기뻐하며 하늘이 그에게 아들을 내려보낸 것이라 하여 거두어 길렀으니, 그 아이는 자라감에 따라 총명하고 지략이 뛰어나서 그 이름을 알지 라 하였다. 또, 금빛 궤짝에서 나옴을 연유로 하여 성을 김씨라 부르고, 처음 발견되었던 장소인 시림을 고쳐 계림(鷄林)이라 이름하고, 이로써 국호를 삼았다.
탈해왕은 알지를 태자로 책봉하였으나 뒤에 파사(婆娑)에게 사양하여 왕위에 오르지 않았다. 알지는 열한(熱漢)을 낳고, 열한은 아도(阿都)를 낳고, 아도는 수류(首留)를 낳고, 수류는 욱부(郁部)를 낳고, 욱부는 구도(俱道)를 낳고, 구도는 미추(未鄒)를 낳았으며, 이 미추가 왕위에 오르니 신라의 김씨는 알지로부터 시작되었다.
알지(閼智, 직위-대보공, 大輔公 65년 출생 - 사망 모름) - 시조(1대) : 신라의 김씨 시작- 후에 신라김씨는 343개의 김씨로 나눠졌음(예, 가평김씨 - 희천김씨)
열한(熱漢) - (2대손) : 김세한(金勢漢), 혹은 김열한(金熱漢)(김성한) - 星漢王를 태조로 보는 경우도 있다.
아도(阿都) - (3대손)
수류(首留) - (4대손)
욱부(郁部) - (5대손)
구도(俱道) - (6대손)
미추(未鄒) - (7대손) : 미추왕[이사금 - 신라 제 13대왕(재위 262-284년)](왕으로 책봉된 사유 : 첨해 이사금(재위 247-261)에게 아들이 없어서 나라사라들이 미추를 왕으로 추대함.
경순왕(29대손) - 고려태조의 큰 딸인 낙랑공주 와의 후손 고려김씨
신라
기원전 57년부터 서기 935년까지 992년간 존재했던 나라. 시조 박혁거세, 석탈해왕, 미추왕 등과같이 박,석,김 3개의 성씨가 왕위를 이어왔다.
신라왕 계보 : 재위기간(왕을 칭하는 호칭)
1대 박혁거세(거서간) BC. 57 ~ AD. 4
2대 남해(차차웅) 4 ~ 24
3대 유리(이사금) 24 ~ 57
4대 탈해(이사금) 57 ~ 80
5대 파사(이사금) 80 ~ 112
6대 지마(이사금) 112 ~ 134
7대 일성(이사금) 134 ~ 154
8대 아달라(이사금) 154 ~ 184
9대 벌휴(이사금) 184 ~ 196
10대 내해(이사금) 196 ~ 230
11대 조분(이사금) 230 ~ 247
12대 첨해(이사금) 247 ~ 261
13대 미추(이사금) 262 ~ 284
14대 유례(이사금) 284 ~ 298
15대 기림(이사금) 298 ~ 310
16대 흘해(이사금) 310 ~ 356
17대 내물(마립간) 356 ~ 402
18대 실성(마립간) 402 ~ 417
19대 눌지(마립간) 417 ~ 458
20대 자비(마립간) 458 ~ 479
21대 소지(마립간) 479 ~ 500
22대 지증왕 500 ~ 514
23대 법흥왕 514 ~ 540
24대 진흥왕 540 ~ 576
25대 진지왕 576 ~ 579
26대 진평왕 579 ~ 632
27대 선덕여왕 632 ~ 647
28대 진덕여왕 647 ~ 654
29대 태종무열왕 654 ~ 661
30대 문무왕 661 ~ 681
31대 신문왕 681 ~ 692
32대 효소왕 692 ~ 702
33대 성덕왕 702 ~ 737
34대 효성왕 737 ~ 742
35대 경덕왕 742 ~ 765
36대 혜공왕 765 ~ 780
37대 선덕왕 780 ~ 785
38대 원성왕 785 ~ 798
39대 소성왕 799 ~ 800
40대 애장왕 800 ~ 809
41대 헌덕왕 809 ~ 826
42대 흥덕왕 826 ~ 836
43대 희강왕 836 ~ 838
44대 민애왕 838 ~ 839
45대 신무왕 839 ~ 839
46대 문성왕 839 ~ 857
47대 헌안왕 857 ~ 861
48대 경문왕 861 ~ 875
49대 헌강왕 875 ~ 886
50대 정강왕 886 ~ 887
51대 진성여왕 887 ~ 897
52대 효공왕 897 ~ 912
53대 신덕왕 912 ~ 917
54대 경명왕 917 ~ 924
55대 경애왕 924 ~ 927
56대 경순왕 927 ~ 935
신라는 56대 경순왕을 끝으로 고려의 태조 왕건에게 항복하면서 신라의 역사는 끝나게 된다.
[출처] [한국사 삼국시대(신라)1] 신라왕 계보 작성자 이든
신라김씨 분파가 경주김씨, 강릉김씨를 비롯하여 수백개가 넘는데, 게중에서도 경주김씨가 대종행세를 할 수 있었던 것에는 세가지 역사적 큰 사건이 존재하지요. 첫째는 문무왕 후손이 대가 끊기고 혼란스러울때 무열왕 후손 김주원이 왕위에 올랐으면 우리 선조들은 방계로 밀려났겠지만, 결국 홍수가 도왔고, 이게 제1사건, 둘째는 견훤이 박씨 경애왕 쳐 죽이고 경순왕을 왕위에 올린게 제2사건, 그리고 경순왕이 왕씨한테 나라를 고이 들어바치고 왕씨부인을 얻어 경주김씨 대안군파 파조 김은열을 낳은 사건, 김은열 후손들은 부계는 신라왕족+모계는 왕씨왕족이라는 혈통적 매리트 때문에 고려시대에도 세를 크게 확장할 수가 있었다.
56대 경순왕(김부)는 김알지의 29세손이며, 후백제의 침공, 약탈로 신라는 쇠퇴하여 경순왕은 931년 고려 왕건에게 알현하고 935년 11월 고려에게 국서를 바치면서 신라는 멸망하였다. 왕비 죽방부인 두아들 - 장남이 마의태자, 차남이 김황이 있었는데, 큰아들은 신라가 망하자 처자를 죽이고 개골산으로 들어가 흰 마의를 입고 생을 마쳤다고 해서 마의태자라 불렸고, 둘째도 처자를 버리고 개골산으로 들어갔다.
935년 고려 태조의 첫째딸인 낙랑공주 왕씨와 아홉째 딸인 왕씨를 후비로 삼았다. 경순왕은 낙랑공주와의 사이에 7명의 아들과 1명의 딸이 있었는데 딸은 경종의 헌숙왕후 김씨이다.
경순왕릉비에는 경순왕(29세손)은 9남 3녀를 두셨는데, 위로부터 3남 1녀는 죽방왕후 박씨소생이고, 5남 2녀는 낙랑공주 왕씨 효목왕후 소생이다. 1남은 별빈 순흥안씨 소생이다. 대안군 김은열은 김알지의 30세손으로 경순왕 넷째아들(낙랑공주 큰 아들)이고, 태사공 김인관은 김알지 36세손으로 경순왕 7세손이다.
경주김씨 대보공(太師公) 항렬표
1 세. 김알지(金閼智) : 추존(追尊) 시조대왕(始祖大王) 시조공(始祖公)
2 세. 김세한(金勢漢) : 추존(追尊) 세한대왕(勢漢大王)
3 세. 김아도(金阿道) : 추존(追尊) 갈문대왕(葛文大王)
4 세. 김수류(金首留)
5 세. 김욱보(金郁甫)
6 세. 김구도(金仇道) : 추존(追尊) 갈문대왕(葛文大王)
7 세. 김말구(金末仇) : 추존(追尊) 충정대왕(忠正大王)
8 세. 김내물(金奈勿) : 내물대왕(奈勿大王)
9 세. 김복호(金卜好)
10세. 김습보(金習寶) : 갈문대왕(葛文大王)
11세. 김지대로(金智大路) : 지증대왕(智證大王)
12세. 김진종(金眞宗)
13세. 김흠운(金欽運)
14세. 김마차(金摩次)
15세. 김법선(金法宣) : 추존(追尊) 현성대왕(玄聖大王)
16세. 김의관(金義官) : 추존(追尊) 신영대왕(神英大王)
17세. 김위문(金魏文) : 추존(追尊) 흥평대왕(興平大王)
18세. 김효양(金孝讓) : 추존(追尊) 명덕대왕(明德大王)
19세. 김경신(金敬信) : 원성대왕(元聖大王)
20세. 김예영(金禮英) : 추존(追尊) 혜강대왕(惠康大王)
21세. 김균정(金均貞) : 추존(追尊) 성덕대왕(成德大王)
22세. 김우징(金祐徵) : 신무대왕( 神武大王)
23세. 김경응(金慶膺) : 문성대왕(文聖大王)
24세. 김안(金安)
25세. 김민공(金敏恭)
26세. 김실홍(金實虹) : 추존(追尊) 선흥대왕( 宣興大王)
27세. 김인경(金仁慶) : 추존(追尊) 의흥대왕( 義興大王)
28세. 김효종(金孝宗) : 추존(追尊) 신흥대왕( 神興大王)
29세. 김부(金傅) : 경순왕(敬順王) 중시조(中始祖)
경순왕의 넷째 아들 김은열(30세손)을 1세조로 하는 대안군파(大安君派), 김은열의 6세손인 김인관(35세손)을 1세조로 하는 태사공파(太師公派)가 있는데, 상촌공(桑村公) 김자수(김자수)공이 유명하셔서 분파하여 나가 상촌공파(桑村公派)라고 합니다. 상촌(桑村)은 충청북도(忠淸北道) 영동군의 지명(地名)입니다.
김인관(金仁琯)의 9세손(世孫) 김자수(金自粹, 43세손)는 고려(高麗) 공민왕(恭愍王) 때 문과(文科)에 장원급제(壯元及第)하여 벼슬이 형조판서(刑曹判書)에 이르렀으나 고려(高麗)가 망(亡)하자 망국(亡國)의 한(恨)을 안고 안동(安東)에 은둔(隱遁)하였다.
태사공(太師公) 상촌공파(桑村公派) 항렬표(行列表)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재(載) 희(喜) 수(秀) |
상(商) 용(容) |
제(濟) 호(浩) 원(遠) |
동(東) 원(元) 흠(欽) |
환(煥) 렬(烈) 기(冀) 홍(鴻) |
기(基) 주(周) 집(執) 식(植) |
호(鎬) 종(鍾) |
연(淵) 택(澤) 녕(寧) |
직(稷) 의(義) |
병(丙) 범(範) |
저는 환(煥)자 돌림이라 김알지 시조의 62세손 또는 상촌공파(桑村公派) 28세손인 것 같습니다. 조금 미미한 것 같아서 더 연구해 볼 예정입니다.
'친구 친척 및 동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님 선산에 가서 서울이사를 신고하다 (0) | 2021.07.05 |
---|---|
여동생부부가 왔다가다 (0) | 2021.07.03 |
경주김씨 파별 항렬표 (0) | 2021.06.30 |
인간은 어떻게 살아야 하나 (0) | 2021.06.28 |
임대사업자 말소서류가 통과하다 (0) | 2021.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