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259) 썸네일형 리스트형 빨간 사과는 어떤 효능이 있나요. 빨간 사과에는 어떤 효능이 있는가를 알아보자. 1) 사과, 만성질병, 암 예방효과. 2) 사과 껍질이 지구력을 키워준다. 3) 피로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일요일은 왜 생겼는가? 일요일은 왜 생겼는가? 일요일은 세상 사람들이 부르는 한주간의 첫째날을 가르키는 말이고 주일은 그리스도인들이 주님의 부활을 기념하여서 한주간의 첫째날에 예배를 드리는 날을 뜻합니다. 일요일과 주일은 근본적으로는 같은 날이나, 그 의미에 있어서는 구분되어야 합니다. 주일.. 동백나무 차나무과(茶―科 Theaceae)에 속하는 상록교목. 수피(樹皮)는 회색빛이 도는 갈색이며 미끈하다. 잎은 가죽처럼 두껍고 어긋나며 앞면은 광택이 나는 짙은 초록색이나 뒷면은 노란색이 섞여 있는 초록색이다. 잎가장자리에는 끝이 뭉툭한 톱니들이 있다. 꽃은 빨간색이며 겨울에 1송이씩 잎겨드랑이나 가지끝에 핀다. 꽃잎은 5~7장이지만 꽃잎의 아래쪽은 서로 감싸고 있으며 꽃받침잎은 5장이다. 수술은 많고 기둥처럼 동그랗게 모여 있으며 수술대는 흰색, 꽃밥은 노란색이다. 암술대는 3갈래로 갈라졌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가을에 구형(球形)으로 익으며 3갈래로 벌어지는데 그속에는 진한 갈색의 씨가 들어 있다. 한국·일본·타이완·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제주도 및 중부 이남의 바닷가에서만 볼 수 있는데 .. 집을 짓을때 왜 소나무를 사용할까요. 우리나라 산에는 주로 소나무가 많이 있어서 구하기 쉽기 때문에 옛날부터 집을 짓는 목재로 사용되어왔다. 오래된 건축물이나 문화재 건물 들을 보면 거의 소나무를 사용 하였다. 집의 뼈대는 굵은 소나무를 건축재료를 사용하였다. 그런데 소나무를 산에서 짤라 건축자재로 사용하려면 인건비와 이동비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소나무를 않 쓰고 거의 다 수입나무를 사용하게 되었다. 수입나무에 비해 소나무가 좋은점이 무얼까? 나무는 건조 되면서 변형이 심하게 일어나게 되는데, 우리나라에서 자란 소나무로 집을 짓게되면 나무가 자란 환경의 온도와 습도가, 집을 지은 지역의 온도와 습도 와 비슷하기 때문에 변형이 적게 일어 난다는 생각이다. 또, 소나무는 무조건 곧게만 자라지 않고 약간씩 비틀리면서 자라기 때문에 끼워맞춤 공법.. 하루에 어느 정도의 채소를 먹어야 건강 하나 채소 하루 권장량은 세계 보건기구에서는 270~400g인데, 우리나라는 권장하는 기준치는 없지만, 한국 영양학회에서는 채소 섭취량을 보면 성인 남자 기준으로 350g 정도이다. 우리가 채소를 반드시 먹어야 하는 이유는 채소에 단백질과 탄수화물, 지방 등 주요 영양소가 우리 몸에서 제 역할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비타민과 무기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루에 채소 350g을 섭취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각종 채소를 깨끗하게 씻어 먹어야 하는데 채소 소믈리에 김은경 님이 제안하는 생활 속의 '하루 채소 350g' 실천법을 보면 1) 익힌 채소 먹기 단호박과 당근, 가지 등은 볶고, 토마토, 죽순, 토란, 연근, 우엉은 익혀 먹어야 한다. 2) 채소 주스 만들어 먹기 채소는 갈아 먹으면 많이 먹을 수.. 유정란생산현황 유정란생산현황 숫닭 1마리, 암닭 5마리 계 6마리 2월 17일 오후 5시 알 1개(처음) 2월 19일 오전 10시, 오후 2시30분 알 2개 계 3개 2월 28일 알 3개 계 26개 3월 9일 오전 9시 40분경 알 5개 계 54개 검정땅콩과 일반땅콩을 나눠 드립니다. 검정땅콩과 일반땅콩을 나눠 드립니다. 작년 봄에 귀인으로 부터 검정땅콩과 일반땅콩 씨앗을 분양받아 심어서 3되정도 수확하였습니다. 보답하는 뜻으로 저도 '인석농원' 블로그를 방문하시는 여러분들에게 이 씨앗을 나눠 드릴려고 합니다. 얼마 안되지만 선착순 20명에게 1인당 검정.. 산작약 재배방법 산작약 재배방법 산작약 [山芍藥] (1) [식물] 미나리아재빗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산지에서 자란다. 뿌리는 굵고 육질이며, 원줄기는 높이 50~75센티미터로 자라고, 밑부분이 비늘 같은 잎으로 싸여 있다. 백작약과 비슷하나 잎 뒷면에 털이 있고 6월에 붉은 꽃이 줄기 끝에 하나씩 피며 암술대가 길게 자라 뒤로 말리는 것이 다르다. 우리나라,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Paeonia obovata이다. (2) [한의] 작약(芍藥)의 뿌리. 맛이 쓰고 시며 성질은 약간 차다. 청혈 작용이 있고 어혈을 없애 주어 발열, 토혈, 경폐, 타박상 따위에 약재로 쓴다. ▶ 진통, 해열, 진경, 이뇨, 조혈, 지한, 복통, 위통, 두통, 설사, 류머티즘성관절염, 월경불순, 월경이 멈추지 않는 증세, 대하증, 식.. 이전 1 ··· 1021 1022 1023 1024 1025 1026 1027 ··· 1033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