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원 텃밭 및 야산

(289)
겨울철에 좋은 한약재료 겨울철에 좋은 한약재료 한약재는 거의 다려서 먹는 것이 대부분이랍니다. 약탕기를 사용해서 한약재를 다리면 쉽고 간편하게 약재를 잘 다려주는 장점이있답니다. 겨울철에 좋은 한약재를 한번 알아볼께요. 겨울하면 기침감기가 생각이 납니다.그래서 감기쪽으로 좋은 한약재를 한번 알아봤습니다. 기침이 심할 때 1. 오미자 오미자 20~30g을 물에 달여 하루 2~3번에 나누어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오미자 100g에 더운 물 1L를 부어 10시간 이상 우린 물을 한번에 30㎖씩 하루 3번 먹어도 좋다고 합니다.오미자는 폐를 보호하고 기침을 멎게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가슴이 답답하면서 기침이 날 때, 만성기관지염으로 기침이 자주 날 때 쓰면 기침도 멎고 몸도 보호할 수 있습니다. 2. 도라지와 율무 도라지 20g, 율..
산성흙은 화강암에서 생긴다 산성흙은 화강암에서 생긴다 화학비료의 사용을 달갑게 여기지 않는 분들이 잘못 생각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 그중 가장 잘못된 것은 화학비료를 쓰면 농지의 흙이 산성으로 변한다고 생각하면서 우리나라 농지의 흙이 산성인 것은 그동안 농지에 화학비료를 많이 써왔기 때문이라고 여기는 것이다. 이렇게 생각하는 것은 흙의 성질은 무엇에 영향을 받아 결정되는지에 대해 적절히 알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흙은 자연이 만들어낸 것이다. 흙의 주 원료는 바위가 부서진 입자들이고 부 원료는 자연에서 살다가 죽어 흙으로 들어가 분해되고 남은 유기물이다. 따라서 흙의 성질은 그 흙이 만들어진 곳에 있는 바위의 종류에 영향을 받고, 그 흙이 만들어진 곳에 많이 사는 생물의 종류에 영향을 받게 되어 있다. 자연 속에서 만들어지는 흙..
흙의 종류 흙의 종류| 1. 모래 석영이 80%이상으로 구성된 흙으로 물이 너무 잘 빠져 보수력이 약하고 건조하기 쉽다. 그러나 건조한 것을 좋아하는 식물에는 적당하고 여러가지 종류의 흙에 섞어쓰면 통기성, 배수성을 개량할 수 있다 2. 양토 모래와 진흙이 적당한 비율로 섞여있는 흙을 말하고 밭흙으로는 가장 적당한 흙이다. 혼합비율에 따라 모래 60%이상인 것을 사질양토, 진흙이 60%이상인 것을 점질양토라고 한다. 3. 진흙 찰흙을 70%이상 함유하고 차지고 단단한 흙이다. 물이 잘 빠지지 않고 딱딱하게 굳어져 통기성이 나빠서 식물이 잘 자라지 않는다. 이런 흙은 모래를 섞어 배수성이나 통기성을 향상시키거나 유기질 거름을 넣어 개량하여 쓰면 좋다. 4. 개흙 물속에 오랫동안 갈아 앉은 흙을 말하며 그 입자가 작아..
지구의 탄생 지구의 탄생 현대 과학의 눈부신 발전은 지구 탄생의 여러가지 가설들을 정설로 바꿔 놓았다. 그중에 하나가 대륙 표이설이다. 우리가 팟죽을 끓일때 열을 가하면 용암처럼 부글 부글 끓다가 식으면 표면은 말라 들어가면서 균열이 생긴다. 그 이유는 팥죽 겉은 식었지만 안은 계속 열의 대류가 발생하면서 서서히 움직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허정택이 독창적으로 제창한 팥죽이론이다. 지표면에서 대략 30-60킬로 사이를 지각으로 본다. 지구 속이 얼마나 뜨겁냐하면 대략 3미터에 1도 상승한다고 보는데 점점 가속도가 붙어 맨틀과 외핵의 경계선이 지표면에서 4천 킬로미터 이상이고 외핵의 온도는 섭씨 4천 4백도가 넘는다. 맨틀에는 고체 성분도 있지만,지각은 마그마를 함유한 맨틀, 즉 용암이란 액체에 뜨있는 것과 같다. 마그..
산성흙이 생기는 이유는 뭘까? 산성흙이 생기는 이유는 뭘까? 흙의 산성문제를 우리나라 처럼 심각하게 생각하는 나라도 별로 없다. 그럼 산성흙이 생기는 이유는 뭘까? 산성흙이 생기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빗물은 농도가 낮은 탄산수(炭酸水)이다. 그런데 탄산수는 약한 산성인 물이다. 탄산수란 이산화탄소(탄산가스, 즉 CO2)가 물에 녹은 걸 말한다. 공기 중에는 비록 조금이긴 하지만 이산화탄소가 어느 곳이던지 있다. 이산화탄소는 빗물에 녹아 대지에 흘려 내린다. 이산화탄소가 녹은 물은 약한 산성(pH 약 5.4 정도)이다. 산성인 빗물이 많으면 빗물은 흙을 씻으면서 지하로 스며든다. 그렇게 되면 그 흙은 산성흙이 되는 것이다. 한 해에 비가 5,000㎜ 정도로 많이 내리는 콜롬비아 같은 나라의 흙은 pH가 4.5 정도인 강산성이다. ..
흙이란 무엇인가요 흙이란 무엇인가요. 근대 농업에 있어서 흙은 무기적 대상으로만 보아왔다. 농작물이 요구하는 영양을 흙에 주기만 하면 된다는 논리에서 농경이 이루어져 왔다. 흙이 결코 무기물이 아니라는 사실을 먼저 알아야 한다. 가장 동적이며 유기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흙이며 살아있는 생명체가 토양인 것이다. 미생물농법이란 무엇인가 흙은 모든 생명의 원천이며 어머니이므로 ‘흙은 살아있다’는 말이 옛부터 전해내려 온다. 분명한 사실은 흙은 무기물인 암석이 오랜 세월동안 태양, 공기, 물의 작용으로 풍화해 미세하게 부서지고 가루고 되고 있고 이것이 점토화 되어 왔다. 그러나 이렇게 하여 형성된 흙에 유기질이 들어가고 한 알 한 알의 암석 낱알을 잇고 이사이에 물이 젖어 들게 된다. 이러한 흙 속에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정원에 잡초 제거제 정원에 잡초 제거제 1) 동부한농 파란들 수화제 일반 금잔디, 들잔디, 버뮤다글라스 등의 난지형 잔디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을 뿐만 아니라 잡초 제거로 인해 잔디의 생육이 좋아지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습니다. 바랭이, 쑥, 클로버, 새포아풀, 괭이밥, 애기땅빈대, 별꽃 등 잔디밭과 산소 ..
전원주택에 이런 것이 있으면... 1. 데크를 설치하면 남쪽 데크는 큰나무를 심지 않기 때문에 여름에는 덥기 때문에 필요없고, 건물의 그늘이 지는 북동쪽 데크가 좋다. 여기에 그늘용 파고라(등나무)나 나무를 심으면 되고, 데크가 지면에서 높은 경우 아랫부분에 농기구 및 원예용품 수납함을 만들면 좋다. 2. 조경계획 계절별 태양의 고도를 생각해서 낙엽 활엽수를 서쪽에 심으면 여름철 오후에 그늘이 되어 집이 시원해지고 겨울에는 잎이 다 떨어져서 빛도 잘 들어 옵니다. 겨울에 잎이 떨어지는 메타세콰이어 또는 은행나무를 밀식하면 좋습니다. 덩굴식물, 파고라 등을 설치해서 휴식공간 및 기능성 공간으로 만들면 좋다. 3. 정원에 흙넣기 전 해야 할일 현관 및 정원조명등, 관수방법에 따른 (스프링쿨러, 점적식 등 필히 계획) 물주기용 수도관, 배수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