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원 텃밭 및 야산

(285)
산성흙이 생기는 이유는 뭘까? 산성흙이 생기는 이유는 뭘까? 흙의 산성문제를 우리나라 처럼 심각하게 생각하는 나라도 별로 없다. 그럼 산성흙이 생기는 이유는 뭘까? 산성흙이 생기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빗물은 농도가 낮은 탄산수(炭酸水)이다. 그런데 탄산수는 약한 산성인 물이다. 탄산수란 이산화탄소(탄산가스, 즉 CO2)가 물에 녹은 걸 말한다. 공기 중에는 비록 조금이긴 하지만 이산화탄소가 어느 곳이던지 있다. 이산화탄소는 빗물에 녹아 대지에 흘려 내린다. 이산화탄소가 녹은 물은 약한 산성(pH 약 5.4 정도)이다. 산성인 빗물이 많으면 빗물은 흙을 씻으면서 지하로 스며든다. 그렇게 되면 그 흙은 산성흙이 되는 것이다. 한 해에 비가 5,000㎜ 정도로 많이 내리는 콜롬비아 같은 나라의 흙은 pH가 4.5 정도인 강산성이다. ..
흙이란 무엇인가요 흙이란 무엇인가요. 근대 농업에 있어서 흙은 무기적 대상으로만 보아왔다. 농작물이 요구하는 영양을 흙에 주기만 하면 된다는 논리에서 농경이 이루어져 왔다. 흙이 결코 무기물이 아니라는 사실을 먼저 알아야 한다. 가장 동적이며 유기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흙이며 살아있는 생명체가 토양인 것이다. 미생물농법이란 무엇인가 흙은 모든 생명의 원천이며 어머니이므로 ‘흙은 살아있다’는 말이 옛부터 전해내려 온다. 분명한 사실은 흙은 무기물인 암석이 오랜 세월동안 태양, 공기, 물의 작용으로 풍화해 미세하게 부서지고 가루고 되고 있고 이것이 점토화 되어 왔다. 그러나 이렇게 하여 형성된 흙에 유기질이 들어가고 한 알 한 알의 암석 낱알을 잇고 이사이에 물이 젖어 들게 된다. 이러한 흙 속에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정원에 잡초 제거제 정원에 잡초 제거제 1) 동부한농 파란들 수화제 일반 금잔디, 들잔디, 버뮤다글라스 등의 난지형 잔디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을 뿐만 아니라 잡초 제거로 인해 잔디의 생육이 좋아지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습니다. 바랭이, 쑥, 클로버, 새포아풀, 괭이밥, 애기땅빈대, 별꽃 등 잔디밭과 산소 ..
전원주택에 이런 것이 있으면... 1. 데크를 설치하면 남쪽 데크는 큰나무를 심지 않기 때문에 여름에는 덥기 때문에 필요없고, 건물의 그늘이 지는 북동쪽 데크가 좋다. 여기에 그늘용 파고라(등나무)나 나무를 심으면 되고, 데크가 지면에서 높은 경우 아랫부분에 농기구 및 원예용품 수납함을 만들면 좋다. 2. 조경계획 계절별 태양의 고도를 생각해서 낙엽 활엽수를 서쪽에 심으면 여름철 오후에 그늘이 되어 집이 시원해지고 겨울에는 잎이 다 떨어져서 빛도 잘 들어 옵니다. 겨울에 잎이 떨어지는 메타세콰이어 또는 은행나무를 밀식하면 좋습니다. 덩굴식물, 파고라 등을 설치해서 휴식공간 및 기능성 공간으로 만들면 좋다. 3. 정원에 흙넣기 전 해야 할일 현관 및 정원조명등, 관수방법에 따른 (스프링쿨러, 점적식 등 필히 계획) 물주기용 수도관, 배수관..
산작약 재배방법 산작약 재배방법 산작약 [山芍藥] (1) [식물] 미나리아재빗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산지에서 자란다. 뿌리는 굵고 육질이며, 원줄기는 높이 50~75센티미터로 자라고, 밑부분이 비늘 같은 잎으로 싸여 있다. 백작약과 비슷하나 잎 뒷면에 털이 있고 6월에 붉은 꽃이 줄기 끝에 하나씩 피며 암술대가 길게 자라 뒤로 말리는 것이 다르다. 우리나라,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Paeonia obovata이다. (2) [한의] 작약(芍藥)의 뿌리. 맛이 쓰고 시며 성질은 약간 차다. 청혈 작용이 있고 어혈을 없애 주어 발열, 토혈, 경폐, 타박상 따위에 약재로 쓴다. ▶ 진통, 해열, 진경, 이뇨, 조혈, 지한, 복통, 위통, 두통, 설사, 류머티즘성관절염, 월경불순, 월경이 멈추지 않는 증세, 대하증, 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