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 및 과수 재배

(213)
사과대추나무 정식 1년생 일반적인 전정방법 우리나라에서 옛날부터 키워오던 대추나무를 토종대추나무라고 불렸는데 토종대추나무는 일반적으로 열매가 그리 크지 않아서 큰 열매가 많이 열리는 대추나무를 지방 과수재배자들이 접목에 접목을 계속 행해서 지금은 지방별로 생산을 많이 하여 별도의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보은 복조 대추나무, 연산, 경산, 봉화, 무등 대추나무가 있다. 요즘 유행하고 있는 왕대추나무는 20여 년 전에 중국에서 들여와 보급되었는데 우리나라 기후에 잘 맞지 않아 열매 생산이 많지 않다가 10여 년 전부터 중국에서 개량한 사과대추 품종이 들어와 우리나라 기후에 잘 적용되어 널리 퍼져서 생산량이 많아졌다. 사과대추나무도 지방 과수재배자에 따라 천상홍조 꿀사과대추, 천황대추, 싱싱대추, 왕대추 등이 있다. 사과대추나무의 전..
보은복조 대추나무 정식 1년생 전정방법 1. 가지의 명칭 1) 주간 : 원가지 또는 주가지를 말한다. 2) 주지 : 아들가지를 말하며, 주간에 주지가 많을때는 1주지,2주지,3주지... 등으로 숫자 차례로 정한다. 3) 부주지 : 손자가지를 말하며, 주지에 부주지가 많을때는 1부주지,2부주지,3부주지... 등으로 숫자 차례로 정한다. 4) 도장지 : 정의는 숨은 눈으로 있다가 어떤 영향으로 나무가 잘 자라지 않을 때에 터서 뻗어 나가는 가지를 말하는데 여기서는 크게 자란 가지들을 말한다. 5) 성장가지 : 나무가 성장하는데 필요한 가지를 말하며, 줄기가지 라고도 말한다. 6) 열매가지 : 열매가 열리는 가지를 말한다. 7) 정식 1년생 : 묘목을 심은 봄부터 다음해 봄전정까지를 말하는데 지난 늦가을에 묘목을 심은 경우는 늦가을부터 봄까지 작업..
대추나무 묘목을 심는 방법 대추나무 재배방법은 지난 해 11월 말부터 12월 중순까지 3회 [대추나무 묘목재배방법(2020. 11. 30.), 보은복조 대추나무 1~3년생 전정방법(2020. 12. 11.) 천상홍조(꿀사과) 왕대추나무 1~3년생 전정방법 (2020. 12. 13.)] 에 걸쳐서 글을 올렸으니 참고하시고 앞으로는 대추나무 재배방법을 소단위별로 나누어 현장 중심으로 사진을 첨부하면서 자세하게 쓰려고 합니다. 우선 대추나무 심는 방법을 제일 먼저 다루고저 합니다. 내용이 부실한 경우에는 앞으로 계속 보완할 예정입니다. 대추나무 묘목을 심는 방법 1. 보은 복조대추나무 및 일반대추나무 보은 복조대추나무 및 일반대추나무 묘목을 심는 시기는 비교적 추위에 강하므로 2월~4월 또는 10월~12월에 심는다. 1) 심어야할 땅은..
총채벌레 1. 특징 성충의 크기는 1~2mm 정도의 작은 곤충이며, 총채벌레의 종류는 꽃노랑총채벌레, 오이총채벌레, 감관총채벌레, 파총채벌레 등이 있다. 2. 발생 총채벌레는 5월 하순에 발생하여 7월 중순까지 활동을 하다가 차츰 감소한다. 잎눈이나 꽃봉오리속에 들어가 살면서 알을 낳고, 유충은 조직의 껍질을 갉아먹으면서 흰점으로 된 먹은 흔적을 남기며, 잎 앞에는 옅은 황색으로 퇴색한 점무늬가 있다. 총채벌레는 즙액을 빨아먹어 직접 피해를 주기도 하지만 바이러스를 옮기는 매개충으로 피해도 크다. 3. 피해 피해는 8월 상순이 제일 높으며, 최고 피해는 20.8%까지 이르며, 응애와 복합적으로 기생하는 경우가 있다. 고추열매도 가해하여 상품가치를 떨어 뜨리는데 총채벌레의 피해를 받으면 표면이 흑갈색으로 변하면서 ..
대추애기 잎말이나방(ancylis hylaea meyrick) 1. 나방특징 성충의 날개길이는 10~15cm로서 날개에 진한 갈색무늬가 있으며, 날개 끝이 뾰족하다. 유충은 황갈색이고, 머리는 흑색이다. 2. 발생. 년 3회정도 발생하며 번데기로 월동하는데 유충은 대추나무의 잎이 나오는 봄부터 발생하며 성충은 4월부터 출현하여 8월까지 발생한다. 3. 피해 유충이 잎을 여러개씩 묶어서 철하고 그 속에서 식해하며, 또한 과실의 겉면도 갉아먹는다. 우리나라, 일본, 인도 등에 분포한다. 어린 유충은 잎의 표피만 남기고 엽육만을 갉아먹기 때문에 무더기로 철한 잎이 누더기처럼 보인다. 4. 방제 유충이 돌돌마른 잎 속으로 들어가면 약제가 잘 묻지않아 방제효과가 떨어지므로 성충이 나타나는 4월에 유기인계 살충제를 살포한다. 대추나무 껍질속에서 월동하는 번데기를 잡아 제거한다..
가중나무산 누에나방 가중(가죽)나무산 누에나방( samia cynthia walkeri c. et r. felder) 1. 나방특징 성충은 큰 날개가 60~80mm의 큰나방이다. 앞 뒷날개에 구름모양의 예쁜 무늬가 있다. 2. 발생 잎뼈대만 남기고 전부를 갉아 먹는다. 일반적으로 잎을 먹은 벌레는 소식성이기때문에 피해는 적지만 가중나무산 누에나방은 대식성이어서 성목 1 그루는 2~3일내에 많은 잎을 갉아 먹기 때문에 피해가 크고 애벌레의 성장속도도 빠르다. 가중나무산 누에나방은 가중나무가 많을 경우 주변에 있는 성충들이 대추 과수원으로 날아와서 산란을 하므로 피해를 크게 받을 수 있다. 3. 피해 중부지방에서는 1년에 1회 발생하고, 성충은 7∼8월에 우화하며, 남부지방에서는 1년에 2회 발생하는데, 성충은 5∼6월과 8∼..
대추나무 아카시아진딧물 대추나무 아카시아진딧물( aphis craccivora koch) 1. 특징 무시충은 계란형이고 몸은 흑녹색으로 광택이 있는 흑색인 것도 있다. 성숙하며 약간의 백색가루를 몸 전체에 균일하게 분비한다. 뿔관은 원통형이고 흑색으로서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밀 판은 둥글며 흑색이고, 배에는 그물무늬가 뚜렷하며 목화진딧물과 비슷하다. 2. 발생 대추나무를 정상적으로 관리할 경우에는 진딧물 피해는 별로 없지만 관리소홀하던가 또는 밀식 또는 통광 통풍이 좋지 않으면 진딧물이 발생하게 된다. 진딧물이 잎의 뒷면에서 즙액을 빨아먹지만 잎이 죽거나 말리지는 않는다. 3. 피해 알 상태로 겨울을 지내고 5월 중~하순경에 날개가 있는 유시충으로 되어 대추나무에 날아와서 날개가 없는 무시충을 낳은 후 단위생식으로 그 수..
대추나무 노랑쐐기나방 대추나무 노랑쐐기나방( monema flavescen walker) 1. 특징 성충의 크기는 길이가 13~20mm이고 나방날개를 편 길이가 30mm 정도인 황색의 나방으로 배에는 약간 갈색이고 날개에는 2줄의 흑갈색선이 있다. 유충은 몸이 통통하고 황녹색이며 머리는 앞쪽 밑에 숨겨져 있다. 등 쪽에는 1쌍의 검은 점이 있고 가슴과 복부 사이에는 큰 갈색 반점이 있으며, 푸른 줄이 있다. 가슴과 복부 끝에는 4쌍 돌기가 있으며 긴 가시털이 나 있다. 2. 피해 7월에 부화하여 처음에는 잎을 바늘구멍 같이 가식하다가 유충이 점차 자람에 따라 잎줄기만 남기고 가식 하므로 쉽게 눈에 띈다. 유충의 가시털에는 독이 들어 있어서 사람몸에 닿으면 쏘아서 며칠 동안 통증을 느낀다. 3. 발생 년 1회 발생하며 유충태로..